■ 목차
1. 배열 수식이란?
2. 엑셀에서 배열의 표현
3. 배열 수식의 계산 방식
** 핵심 요약
4. 배열 수식에서 True, False의 의미
5. 배열 수식에서 And, Or 조건 구현하기
6. 배열 수식에서 우리가 알아야 하는 핵심 개념
7. 배열 수식 예제 - 구구단 한 번에 입력하기
8. 배열 수식 예제 - 판매 금액 총액 구하기
9. 배열 수식 예제 - Sum, If 배열 수식
10. 배열 수식 예제 - Sum 함수만으로 구하기
11. 배열 수식 예제 - 2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합계 구하기
12. 배열 수식 예제 - 날짜에서 특정 월의 실적 합계 구하기
13. 배열 수식 예제 - "Or 조건 = 더하기" 활용하기
14. 배열 수식 예제 - 최대 값이 있는 행 번호 찾기
15. 배열 수식 예제 - 0 값을 제외한 합계 구하기
16. 배열 수식 예제 - 고유한 값의 개수 구하기
17. 배열 수식 예제 - 반별 등수 구하기
1. 배열 수식이란?
- "배열 수식" 영어로는 "Array Formula"하고 하는데 하나 이상의 항목(값)을 가진 "배열"을 가지고 계산을 수행하는 수식을 얘기합니다.
- "배열" 이라는게 가로방향, 세로방향 혹은 가로 × 세로 방향의 하나 이상의 값이고 이런 하나 이상의 값을 한 번에 계산을 할 수 있는 수식이 배열 수식입니다.
- 그래서 일반적인 수식의 입력 (등호사용, Enter로 입력)과 다르게 (등호 사용, Ctrl +Shift + Enter로 입력)을 해줘야 하고
- "Ctrl + Shift + Enter"로 수식을 입력한다고 해서 "CSE 수식"이라고도 합니다.
- "배열"이란 일반적으로 데이터 구조에 대한 얘기지만 우리는 가로, 세로 방향의 한 개 이상의 데이터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는 구조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- ①"여러 개의 데이터"이기 때문에 한 번에 여러 데이터를 계산 할 수 있지만 ② "한 덩어리" 이기 때문에 분리할 수 없는 구조라고 이해하시고
- 이러한 배열은 엑셀에서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만의 데이터를 가지는 1차원 배열과 가로 × 세로 방향의 2차원 배열이 있습니다.
- 개념적으로는 3차원 배열도 있지만 엑셀에서는 2차원 배열까지만 지원을 하고 우리가 사용하는 "배열 수식"은 거의 99% 1차원만을 사용합니다.
- 사실 배열 수식이 한 번에 계산을 해주고 일반 수식/함수로는 풀수 없는 문제을 풀어주는 좋은 방식이기는 하지만 사실 설명도 그렇고 처음에는 개념 잡기가 조금 어렵습니다.
- 그래서 간단한 개념 설명과 가능한 다양한 예제를 통해서 익혀보고자 합니다.
2. 엑셀에서 배열의 표현
- 엑셀에서는 여러 셀의 집합을 보통 범위(Range)라고 합니다. 이는 여러 개의 독립된 데이터의 집합으로 보시면 되는데
- 이와 유사하게 여러 값들의 집합을 배열(Array)라고 하고 배열의 경우는 한 덩어리, 즉 한 개의 데이터이고 여러 개의 값을 가지고 있는 상태입니다.
- 그래서 일반적인 셀의 데이터 입력 및 범위의 경우 각각의 셀에 각각의 값을 입력하고 "Enter"키로 마무리하는 것으로 표현 및 사용이 가능하지만
- 배열의 경우 여러 셀을 선택하지만 한 칸에 모두 입력하고 "Ctrl + Shift + Enter ( = CSE)"키로 입력을 해줘야 합니다.
- 1) 배열의 표시 방법
- 하나의 셀에 여러 값들을 입력하기 위해서 배열 수식은 중괄호 ( { } )와 세미콜론( ; )그리고 콤마( , )를 사용합니다.
- 배열은 여러 개의 값들이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1차원 배열과 가로×세로의 2차원 배열이 있다고 했습니다.
- 이렇게 여러 개의 값들은 한 셀에 입력하기 위해서
- ① 여러 값들을 중괄호 ( { } )로 묶어 주고 ② 가로 방향의 데이터 구분은 콤마( , )로 ② 세로 방향의 데이터 구분은 세미콜론 ( ; )으로 해주면 됩니다.
- 기능상 2차원 배열을 엑셀이 지원을 해주기는 하지만 우리는 거의 세로 방향의 1차원 배열만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.
- 우리가 사용하는 데이터가 거의 대부분 세로 방향이고 2차원의 배열을 사용할 만큼 어렵고 복잡한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. ^^
- 2) 배열 입력하기
- 우리가 엑셀에서 사용하는 배열은 거의 1차원이고 세로 방향입니다. 우리가 배열수식에서 사용하는 표와 같은 데이터가 대부분 이런 모양으로 관리가 되기 때문입니다.
- 배열은 항상 등호( " = " )을 사용하는 수식으로 입력을 하게 되고 한 덩어리로 취급이 됩니다.
- 우선은 1차원 세로형 배열을 엑셀에서 직접 입력하고 확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아래와 같이 ① 세로로 각각의 셀에 10, 20, 30을 입력하고 ② 다른 셀에 등호 기호 ( " = " )와 함께 입력된 3개의 셀을 모두 선택하고
- ③ 배열 입력을 지정하기 위해서 "Ctrl + Shift + Enter = CSE)"을 눌러주게 되면 아래와 같이 입력이되고 표시가 됩니다.
- B6 셀에 배열이 입력된 상태입니다.
- ④ "수식 입력줄"에서 "B2:B4"를 마우스로 선택한 후 "F9 (지금 계산)" 단축키를 누르시면
- ⑤ "={10;20;30} "와 같이 배열 수식형태로 입력된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- 현재 배열을 입력해서 "B6" 셀에 숫자 10 하나만 보이는 것은 우리가 배열 입력 시 배열에 포함된 값의 개수보다 적은 셀을 선택해서 선택된 셀 수만큼 보여주기 때문이고
- 만약 B6:B8 범위를 선택하고 "B6"셀에 동일하게 배열을 입력하게 되면 10, 20, 30을 모두 표시 해주게됩니다.
- 이는 배열은 선택된 셀 범위만큼만 표시를 해주는 것이지 입력된 배열값 자체가 바뀌는 것은 아닙니다.
- 3) 간단한 배열 수식 입력하기 - 다중 셀 입력
- 배열은 데이터 값이기 때문에 숫자의 경우는 사칙연산 및 비교연산자를 사용한 논리 값 평가가 가능하고
- 문자인 경우에는 문자이기 때문에 논리값 평가만 가능합니다.
- 논리값 평가라는 것은 비교 연산자(<, >, =... )를 사용하여 참(True), 거짓(Fasle)을 판정하는 것입니다.
-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배열을 가지고 계산을 하고 싶은 경우, 즉 "배열 수식"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는 항상 "Ctrl + Shift + Enter"로 수식을 마무리해주셔야 합니다.
- 그리고 "수식 입력줄"에 중괄호 ( " { } " )가 있다면 배열로 입력이 된 수식입니다.
- 우선 간단하게 숫자 배열에 곱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우선은 배열 결과 값이 모두 표시가 될 수 있도록 ① 배열의 개수만큼 셀 범위를 선택하고
- ② 선택된 첫 번째 셀에 "=B2:B4*5"라고 입력을 하고
- 그리고 ③ "CSE( = Ctrl + Shift + Entr)" 키로 마무리를 하시면 아래와 같이 계산되 값이 나오게 됩니다
- 이 방법이 "다중 셀"에 배열 수식을 입력하는 방식입니다.
- 그리고 "=B2:B4 * 5"는 "={10 ; 20 ; 30} * 5"와 동일한 수식이고 어느 것을 입력해도 같은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.
- 배열을 직접 하나하나 입력을 하여 계산을 할 수 도 있지만 보통은 입력이 힘들기 때문에 셀 범위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계산을 하게 됩니다.
- 4) 간단한 배열 수식 입력하기 - 단일 셀 입력
- 다음은 단일 셀에 배열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입니다.
- 다중 셀 배열 입력을 할 것인가 단일 셀 배열 입력을 할 것인가는 사용자가 계산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.
- 구구단과 같은 계산을 한 번에 하고 싶다면 "다중 셀" 입력이 될 것이고 아래와 같이 "한 꺼번에 계산한 값의 합계"를 구하고 싶다고 한다면 "단일 셀" 입력을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.
- 다음은 곱하기 한 값의 합계를 배열 수식으로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- 동일하게 "CSE" 키로 마무리를 하는데 이 번에는 "Sum 함수"를 배열 수식에 사용하게 됩니다.
3. 배열 수식의 계산 방식
- 배열 수식은 어떻게 계산을 하게되는지? 계산이 너무 빨라서 잘 안 보이시죠!
- 배열 수식의 장점 중의 하나이자 단점입니다. 장점은 "계산이 빠르다" 단점으로는 그래서 "이해하기가 힘들다"입니다.
- 배열은 여러 개의 값이고 배열을 사용한 결과 값은 여러 개의 값인 배열 형태로 나오게 됩니다.
- 이 것를 그대로 셀 범위에 표시를 해주느냐 아니면 여러 개의 값들을 가지고 Sum, Average 함수 등의 입력 값으로 사용할 것이냐입니다.
- 배열과 일반 상수, 배열과 배열의 계산 방식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우선은 이 그림이 머리에 들어와야 배열 수식을 사용해도 결과 값이 어느 정도 예측이 되기 때문에 개념적으로 이해하시기 바랍니다.
- 뭐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닙니다.
- 그리고 이 번 설명에는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배열 방식인 1차원 세로 방향의 배열을 기준으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- 1) 배열과 일반 상수의 사칙 연산
- 배열과 일반 상수의 사칙 연산은 아래와 같이 각각의 배열 값과 일반 상수가 각각의 계산을 하게 됩니다.
- 쉽게 이해가 가는 계산 방식입니다. 사칙연산 (+, - , ×, / ) 모두 같은 방식으로 적용이 됩니다.
- 2) 배열과 배열의 사칙 연산
- 배열과 배열의 사칙연산을 잘 보시기 바랍니다. 우리가 사용하는 거의 대부분이 배열과 배열의 사칙연산입니다.
- 배열과 배열의 사칙연산은 아래와 같이 각각 일대일로 사칙연산이 적용됩니다.
- 즉 첫 번째는 첫 번째 숫자와 곱셈을 하고( 10 x 1) 두 번째는 두 번째끼리 곱셈 (20 x 2)을 하게 됩니다.
- 3) 배열과 일반 상수/문자의 비교 연산
- 배열에 비교 연산자를 적용하는 경우 결과는 "True 혹은 Flase"의 배열로 계산이 되어집니다.
- 각각 비교을 하게 되고 각각의 비교 결과 값인 True / False로 구성된 배열이 됩니다.
- 4) 배열과 배열의 비교 연산 - 문자
- 문자의 경우도 숫자의 비교연산과 동일한 방식으로 "True/Fasle"의 배열 값이 결과로 표현이 됩니다.
- 여러 개가 한꺼번에 계산이 된다는 부분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비교연산과 동일합니다.
** 핵심 요약 : 배열수식 이란? (1/4) - 배열함수, 배열수식 다양한 예제로 알아보자
1. 배열 수식이란?
- "배열 수식" 영어로는 "Array Formula"하고 하는데 하나 이상의 항목(값)을 가진 "배열"을 가지고 계산을 수행하는 수식을 말한다.
- 한 개 이상의 데이터가 한 덩어리로 되어 있는 구조로
- ①"여러 개의 데이터"이기 때문에 한 번에 여러 데이터를 계산 할 수 있지만
- ② "한 덩어리" 이기때문에 분리할 수 없는 구조의 데이터 형식이다.
- "Enter"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식 입력과 다르게 배열 수식은 "Ctrl + Shift + Enter"로 수식을 입력한다.
2. 엑셀에서 배열의 표현
- 1) 배열의 표시 방법
- 하나의 셀에 여러 값들을 입력하기 위해서 배열 수식은 중괄호 ( { } )와 세미콜론( ; )그리고 콤마( , )를 사용한다.
- ① 여러 값들을 중괄호 ( { } )로 묶어 주고 ② 가로 방향의 데이터 구분은 콤마( , )로 ② 세로 방향의 데이터 구분은 세미콜론 ( ; )으로 구분하여 입력한다.
- 2) 배열 입력하기
- "=B2:B4"와 같이 셀 범위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"Ctrl + Shift + Enter"로 입력한다.
- "수식 입력줄"에서 F9(지금 계산) 단축키를 이용하면 "{ = { 10 ; 20 ; 30 } }"과 같이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- 3) 간단한 배열 수식 입력하기 - 다중 셀 입력
- "Ctrl + Shift + Enter"로 배열을 입력하는 것은 동일하나 셀 범위를 배열의 값 개수만큼 충분히 선택한 다음 입력한다.
- 4) 간단한 배열 수식 입력하기 - 단일 셀 입력
- Sum 함수와 함께 배열 수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일 셀에 배열 수식을 입력하게 된다.
3. 배열 수식의 계산 방식
- 배열 수식의 장점은 "계산이 빠르다" 단점으로는 그래서 "이해하기가 힘들다" 이다.
- 1) 배열과 일반 상수의 사칙 연산
- 각각의 배열 값과 일반 상수가 각각의 계산을 하게 된다.
- 2) 배열과 배열의 사칙 연산
- 배열과 배열의 사칙연산은 각각 일대일로 사칙연산이 적용된다.
- 즉 첫 번째는 첫 번째 숫자와 곱셈을 하고( 10 x 1) 두 번째는 두 번째끼리 곱셈 (20 x 2)을 하게 된다.
- 3) 배열과 일반 상수/문자의 비교 연산
- 동일하게 각각 비교을 하게 되고 각각의 비교 결과 값인 True / False로 구성된 배열이 된다.
- 4) 배열과 배열의 비교 연산 - 문자
- 숫자의 비교연산과 동일한 방식으로 "True/Fasle"의 배열 값이 결과로 표현이 된다.
[엑셀 특강 (개념 잡기)] - 999. 엑셀 기초 특강 목차
999. 엑셀 기초 특강 목차
[엑셀 특강 (개념 잡기)] - 001. (엑셀 기초 특강) 엑셀 데이터란? (feat. 숫자, 문자, 날짜 무엇이 다른가?) [엑셀 특강 (개념 잡기)] - 002. (엑셀 기초 특강) 엑셀 함수란? (feat. 왜 그렇게 어렵고 많아야
nextmeok.tistory.com
* 엑셀 관련 궁금하신 거나 어려운 점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질문을 해주세요.
* 가능한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
* 저도 많이 알지는 못하지만 누구나 그렇듯 시작이란 게 있고 경험이란 게 다를 것 같습니다.
* 편하게 문의하시면 됩니다. 저도 모를 수 있다. 감안해 주시고.
- ILU, SH -
댓글